로컬스토레지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. v-model은 vue의 인스턴스안에 바로바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.- 양방향 바인딩 data 안의 변수에 연결해주면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값 으로 바뀌게 된다. 값 확인을 하기 위한 메소드 작성 add 그 다음 localStorage에 저장해보자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API/Window/localStorage Window.localStorage - Web API | MDNlocalStorage 읽기 전용 속성을 사용하면 Document 출처의 Storage 객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저장한 데이터는 브라우저 세션 간에 공유됩니다. lo..
scoped를 붙이면 해당 컴포넌트에만 영향을 받음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Viewport_meta_tag 태그를 사용하여 뷰포트의 크기와 모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." data-og-host="developer.mozilla.org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Viewport_meta_tag" data-og-url="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Viewport_meta_tag" data-og-image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bDYWBk/hyV2xfyRuw/AAAAAAAAAAAAAAAAAAAAAKVh2ZcHHSKhzlKt8au-OdTSu_7ix6kmRSQNSn3gmTyl/img..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6I9yOw8cb6i%2BmHzV7aOv3531hlQ%3D
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만들면 src > components 폴더를 만들어 이곳에서 컴포넌트를 만든다.
JUnit 5 @Tag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the-java-application-test#curriculum Swagger@Tag(name="뉴스 컨트롤러", description="뉴스 관련 API 호출 처리")@Operation(summary = "부제목", description = "상세설명")@Qualifier1개일 때에 사용하는 이유를 모르겠다.빈 등록시에 impl만 올리려고 이렇게 쓰는건가? @ApiResponses({ @ApiResponse(responseCode="200", description= "성공시 OK"), @ApiResponse(responseCode="500", description= "실패시 Internal ServerError"), })
spring 프로젝트를 만든 후 build.gradle에 추가해준다. plugins { id 'java' id 'org.springframework.boot' version '3.2.5' id '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' version '1.1.4' id "com.ewerk.gradle.plugins.querydsl" version "1.0.10"} //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'com.querydsl:querydsl-jpa:5.0.0:jakarta' annotationProcessor "com.querydsl:querydsl-apt:${dependencyManagement.importedProperties['querydsl.version']}:ja..
작업하던 App.vue 파일 그대로 올리는게 아니라build용 파일을 생성하신 후 올려야 한다.왜냐고요? 웹브라우저는 HTML CSS JS 이 세개의 언어만 해석할 수 있습니다. 브라우저는 .vue파일그런거 읽을 줄 모름 npm run buildVue 프로젝트 폴더 내에 dist 라는 폴더가 하나 생성된다. 깃 허브에 내아이디.github.io 라는 레퍼지토리를 만든다. vue build를 해서 만들어진 작고 소중한 dist폴더 내부의 모든 파일을 넣어준다. 이제 10분 뒤 정도면 https://내아이디.github.io 로 들어가면 사이트가 보인다.
import { createRouter, createWebHashHistory } from 'vue-router'const router = [];const router = createRouter({ history: createWebHashHistory(), routes,}) history: createWebHashHistory()이렇게 설정해놓는건데 이걸 Hash mode라고 한다이걸 선택하시면 URL에 전부 #이 붙은 채로 시작한다.codingapple.com/#/detail 이런 식 - HTML5 mode를 선택한 경우누군가 /detail 이라고 URL란에 입력하면 실은 이건Vue router로 /detail을 보여주세요~가 아니라서버에 /detail 페이지를 요청해주세요~ 라는 뜻입니다. 그래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exception
- BindingResult
- 로그인
- 인터셉터
- react실행
- 스프링공부
- 향해플러스
- 리터럴
- 항해99
- hypertexttransferprotocol
- filter
- 백엔드 개발자 역량
- 스프링부트
- ArgumentResolver
- 예외처리
- SpringBoot
- 향해99
- JPA
- Java
- 항해플러스
- reject
- 컨트
- jpa api
- 백엔드 개발자 공부
- rejectValue
- thymleaf
- React
- 향해플러스백엔드
- Intercepter
- HTTP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