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리액트를 본다면 아무것도 하지않았으매 리액트 자체에 좋은 개발환경을 위해 짜놓은 것으로 인해 1.7MB이라는 큰 용량으로 잡혀있다

그렇기에 배포할 때에 한번 빌드를 통해야한다. 터미널에 npm run build를 입력해주면

이렇게 build 라는 폴더가 생성되는데
이곳에 html css js 의 형태로만 파일이 남게 되는데
리액트에서 불필요했던 것들을 정리해서 용량을 줄인 폴더의 형태로 만들어준다
그런 뒤에 index.html을 그냥 여는 것이아닌
터미널에
npx serve -s build 적어주면 npx로 한번씩 사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 서버를 만들어준다

용량이 굉장히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'dev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React 시작 - props (0) | 2021.05.09 |
|---|---|
| React 시작하기 - component 만들기 (0) | 2021.05.09 |
| React 시작 - css 사용하기 (1) | 2021.05.08 |
| React JS 코딩하는 방법 (0) | 2021.05.08 |
| React 샘플 웹앱 실행 (0) | 2021.05.07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스프링부트
- reject
- filter
- ArgumentResolver
- Intercepter
- 백엔드 개발자 역량
- hypertexttransferprotocol
- rejectValue
- 항해99
- SpringBoot
- 로그인
- 백엔드 개발자 공부
- 향해플러스백엔드
- React
- JPA
- 향해99
- 컨트
- 항해플러스
- 향해플러스
- 인터셉터
- HTTP
- thymleaf
- 스프링공부
- Java
- BindingResult
- 리터럴
- react실행
- exception
- 예외처리
- jpa api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|||
| 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