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로컬스토레지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.
v-model은 vue의 인스턴스안에 바로바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.
- 양방향 바인딩
<template>
<div>
<input type="text" v-model="newTodoItem">
</div>
</template>
<script>
export default {
data : function(){
return{
newTodoItem : ""
}
}
}
</script>
<style>
</style>
data 안의 변수에 연결해주면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값 으로 바뀌게 된다.
값 확인을 하기 위한 메소드 작성
<template>
<div>
<input type="text" v-model="newTodoItem">
<button v-on:click="addTodo">add</button>
</div>
</template>
<script>
export default {
data : function(){
return{
newTodoItem : ""
}
},
methods : {
addTodo: function(){
console.log(this.newTodoItem);
}
}
}
</script>
<style>
</style>
그 다음 localStorage에 저장해보자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API/Window/localStorage
Window.localStorage - Web API | MDN
localStorage 읽기 전용 속성을 사용하면 Document 출처의 Storage 객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저장한 데이터는 브라우저 세션 간에 공유됩니다. localStorage는 sessionStorage와 비슷하지만, localStorage의 데이
developer.mozilla.org
localStorage.setItem(this.newTodoItem,this.newTodoItem);
키:밸류 형태
리팩토링하면 아래처럼 된다. 한 메소드가 하나의 일만 하게 끔 바꿨다.
this는 자기자신을 가리킨다. 해당 인스턴스를 가르키니 this를 이용해서 메소드, 변수 등을 가르킬 수 있다.
<template>
<div>
<input type="text" v-model="newTodoItem">
<button v-on:click="addTodo">add</button>
</div>
</template>
<script>
export default {
data : function(){
return{
newTodoItem : ""
}
},
methods : {
addTodo: function(){
//저장하는 로직
localStorage.setItem(this.newTodoItem,this.newTodoItem);
this.clearInput();
},
clearInput : function(){
this.newTodoItem = '';
}
}
}
</script>
<style>
</style>
엔터 터치 등 추가
<template>
<div>
<input type="text" v-model="newTodoItem">
<button v-on:click="addTodo" v-on:keyup.enter="addTodo">add</button>
<span class="addContainer" v-on:click="addTodo">
+
</span>
</div>
</template>
<script>
export default {
data : function(){
return{
newTodoItem : ""
}
},
methods : {
addTodo: function(){
//저장하는 로직
localStorage.setItem(this.newTodoItem,this.newTodoItem);
this.clearInput();
},
clearInput : function(){
this.newTodoItem = '';
}
}
}
</script>
<style scoped>
input:focus{
outline : none;
}
.inputBox {
background : white;
height: 50px;
line-height: 50px;ßßßer-radius : 5px;
}
.inputBox input{
background : none;
font-size: 0.9rem;
}
.addContainer {
float : right;
background : linear-gradient(to right, #6478FB, #8763FB);
display : block;
width : 3rem;
border-radius: 0 5px 5px 0;
}
.addBtn {
color: white;
vertical-align: middle;
}
</style>
'dev > vu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$emit (0) | 2024.05.09 |
---|---|
localstorage 값 빼오기, v-for (0) | 2024.05.09 |
style scoped (0) | 2024.05.08 |
반응형 웹 태그 (meta viewport 태그, 파비콘) (0) | 2024.05.08 |
컴포넌트 폴더 (0) | 2024.05.08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exception
- ArgumentResolver
- thymleaf
- 백엔드 개발자 역량
- 항해플러스
- 향해플러스
- BindingResult
- React
- filter
- 향해99
- hypertexttransferprotocol
- 스프링공부
- 리터럴
- 컨트
- rejectValue
- 스프링부트
- Java
- jpa api
- JPA
- HTTP
- 로그인
- 항해99
- 백엔드 개발자 공부
- reject
- 인터셉터
- 예외처리
- Intercepter
- react실행
- SpringBoot
- 향해플러스백엔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