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현재는 Client에서 paymentService를 부를 때 어떤 것을 부를 지에 대해 책임을 가진 것이 된다.
public class Clien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//PaymentService paymentService = new PaymentService(new WebApiExRateProvider());
ObjectFactory factory = new ObjectFactory();
PaymentService paymentService = factory.paymentService();
Payment payment = paymentService.prepare(100L, "USD", BigDecimal.valueOf(50.7));
System.out.println(payment);
}
}
public class ObjectFactory {
public PaymentService paymentService() {
return new PaymentService(exRateProvider());
}
public ExRateProvider exRateProvider() {
return new WebApiExRateProvider();
}
}
ObjectFactory를 이용해서 그 안에서 Service를 부르게끔. Controller나 Handler의 값에서 변경되는 것이 아닌, 이제는 관리의 주체가 Factory로 변경되었다.
'dev > Spring 6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심사 분리 끝. 스프링 컨테이너와 의존관계 주입 (Dependency Injection) (0) | 2024.09.23 |
---|---|
관심사 분리 3. 인터페이스 도입, 관계설정 책임의 분리 (0) | 2024.09.18 |
관심사 분리 2. 상속을 통한 확장 (0) | 2024.09.18 |
관심사 분리 1. 메소드 단위 (1) | 2024.09.17 |
오브젝트와 의존관계 (1) | 2024.09.17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ArgumentResolver
- SpringBoot
- thymleaf
- jpa api
- rejectValue
- filter
- Intercepter
- 향해99
- 스프링부트
- 스프링공부
- React
- 로그인
- BindingResult
- HTTP
- 컨트
- 백엔드 개발자 공부
- 인터셉터
- reject
- 항해플러스
- exception
- react실행
- Java
- 백엔드 개발자 역량
- 향해플러스
- 예외처리
- JPA
- hypertexttransferprotocol
- 항해99
- 리터럴
- 향해플러스백엔드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