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스프링컨테이너

  • 스프링이 아닌 스프링컨테이너라고 하는 이유가 있다.
  • 스프링이라는 프레임워크에 가장 기반이 되는 기술은 스프링컨테이너이다.
  • 사실 같은 말로 사용해도 된다.
  • Ioc/DI 컨테이너라고도 부른다

Dependency Injection (의존관계 주입)

  • 기존의 ObjectFactory는 사실 BeanFactory이다.
  • Bean은 그냥 자바의 컴퍼넌트 오브젝트 모델에 붙인 이름이다.
  • 그냥 오브젝트라 불러도 된다. 그래서 BeanFactory라고 불러도 된다.
  • 현재의 ObjectFactory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서비스를 호출한다. BeanFactory를 사용하려면 아래의 그림과 같은 ObjectFactory가 또 필요로 하게 된다.
public class Client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//PaymentService paymentService = new PaymentService(new WebApiExRateProvider());
        ObjectFactory factory = new ObjectFactory();
        
        //paymentService를 가져오는 부분
        PaymentService paymentService = factory.paymentService();

        Payment payment = paymentService.prepare(100L, "USD", BigDecimal.valueOf(50.7)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payment);

    }
}

public class ObjectFactory {
    public PaymentService paymentService() {
        return new PaymentService(exRateProvider());
    }

    public ExRateProvider exRateProvider() {
        return new WebApiExRateProvider();
    }
}

- 여기에서 Bean이 될 것은 Service와 WebApiExRateProvider이다.

 

 

BeanFactory의 사용

public class Client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//PaymentService paymentService = new PaymentService(new WebApiExRateProvider());
        BeanFactory beanFactory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ObjectFactory.class);

        //paymentService를 가져오는 부분
        PaymentService paymentService = beanFactory.getBean(PaymentService.class);

        Payment payment = paymentService.prepare(100L, "USD", BigDecimal.valueOf(50.7)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payment);

    }
}

package com.hellopayment;
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Bea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Configuration;

@Configuration
public class ObjectFactory {

    @Bean
    public PaymentService paymentService() {
        return new PaymentService(exRateProvider());
    }

    @Bean
    public ExRateProvider exRateProvider() {
        return new SimpleExRateProvider();
    }
}
  1. Client에서 BeanFactory를 리턴하는 A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) 클래스를 통해 어떤 클래스에서 beanFactory를 가져올 것인지 정한다. ObjectFactory를 인자로 넣어 만들었다.
  2. ObjectFactory는 beanFactory에 연결한다는 의미의 어노테이션인 @Configuration(구성정보: 빈클래스, 의존관계)을 클래스에 달아준다.
  3. 각각 메소드는 리턴값에 대해 BeanFactory에 담아줄 것이라면 @Bean을 표시한다. 

우리가 사용하는 Jpa등의 스프링 기술은 대부분은 이 BeanFactory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.

 

컨테이너란?

-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

- beanFactory에서 그냥 PaymentService를 가져간게 아니라 getBean()을 통해 가져갔다.

-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BeanFactory가 만들어 질 때, 이미 PaymentService는 만들어져 있다. BeanFactory가 미리 가지고 있다가, 필요한 요청이 오면 준다.

- 미리 만들어두는 이유는 웹어플리케이션에서 BeanFactory없이 사용한다면, 매번 new로 새로 만들어지면 서버의 저하가 올 수 있다.

- 서버 위의 대부분의 기술은 컨테이너 위에 오브젝트를 만들어 두고 사용한다. 우리가 잘 아는 Servlet도 서블릿컨테이너 위에 만들어 진다. 

- BeanFactory는 만들어두고 한번 사용한다고 지워지는게 아닌, 필요시 미리 만들어진 애를 계속 제공한다. 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4/10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