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자식에서는 부모의 state를 변경할 수 없다 (read-only)그래서 custom event를 통해 수정해달라는 메세지를 보내야 한다. vue에서 지원하는 변수가 있는데 $가 붙은 변수이다. $emit('작명',데이터) 형식으로 보내는데 데이터를 보내지 않으려면 $emit('작명')으로도 충분하다. 하위컴포넌트(자식) {{ 원룸.title }}이렇게 작명해서 메세지를 보내면 이렇게 작명한 메세지를 이벤트로 발생시킬 수 있다. 이게 자식이 부모의 state를 변경하는 방식이며,이것은 Custom Event 작성 방식으로 볼 수 있다. 만약$emit('작명',데이터)로 데이터도 보내서 사용해야 한다면 $event 해당 값을 사용할 수 있다. ..
{{ 원룸.title }} {{ 원룸.price }}원 for문으로 이렇게 데이터를 뿌려줬다. 클릭할 때마다 상세내용이 나오면 좋겠는데 클릭한 컨텐츠가 보이면 좋겠다. export default { name: 'App', data(){ return { 누른거 : 0,'누른거'라는 state를 만들고 클릭하면 '누른거'에 id 값을 넣을 것이다. 그럼 모달창에서는 이렇게 보이면 된다. {{ 원룸들[누른거].title }} {{ 원룸들[누른거].content }} 닫기 안녕하세요1 안녕하세요2 안녕하세요3 else는 바로 위가 참이 아니면 대신 작동한다.

var apple = 10;export default apple;apple.js App.vue 2개 이상은 이렇게 export default [{ id : 0, title: "Sinrim station 30 meters away", image: "https://codingapple1.github.io/vue/room0.jpg", content: "18년 신축공사한 남향 원룸 ☀️, 공기청정기 제공", price: 340000 }, { id : 1, title: "Changdong Aurora Bedroom(Queen-size)", image: "https://codingapple1.github.io/vue/room1.jpg", content: "침실만 따로 있는 공용 셰어하우스입니다..
허위매물신고 신고수 : 0 허위매물신고 신고수 : 0 --- 축약형 export default { name: 'App', data(){ return { 신고수 : 0, products: ['역삼동원룸','천호동원룸','마포구원룸'], 메뉴들 : ['Home','Shop', 'About'], } }, components: { }}... 허위매물신고 신고수 : {{ 신고수 }} 버튼을 누를 때마다 신고수가 1씩 증가한다. 랜더링이기에 다시 html을 뿌리거나 하지 않아도 됌 @click뿐 아니라 @mouseover, @change 등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. 허위매물신고 신고수 : {{ 신고수 }} 이렇게 함수를 만들 수 있다 (javasc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백엔드 개발자 역량
- 항해플러스
- reject
- Intercepter
- 항해99
- 향해플러스백엔드
- 향해플러스
- JPA
- Java
- rejectValue
- ArgumentResolver
- React
- jpa api
- thymleaf
- react실행
- 백엔드 개발자 공부
- 인터셉터
- HTTP
- hypertexttransferprotocol
- filter
- 향해99
- 스프링공부
- 스프링부트
- 리터럴
- 예외처리
- BindingResult
- exception
- SpringBoot
- 로그인
- 컨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