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watch API도 컴포지션 API에서 사용하는 watch 속성을 의미한다.
watch 속성
watch API
export default {
props:['todoItems', 'userId'],
setup(props, context) {
function remove(item,index) {
localStorage.removeItem(item);
context.emit('remove',index);
}
watch(props.todoItems, (newValue)=>{
console.log({newValue});
})
return {remove}
}
}
위처럼 watch를 사용하면 todoItems가 바뀔 때마다 그 새롭게 바뀐 값이 newValue로 넘어온다.
watch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. 많아지면 추적이 어렵기 때문이다. 기존의 emit, props 등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'dev > vue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스텀 컴포지션 함수 (0) | 2025.01.25 |
---|---|
Lifecycle API 사용하기, mounted (0) | 2025.01.25 |
computed API란? (0) | 2025.01.25 |
composition API에서는 왜 setup에서 .value로 접근해야 할까? (0) | 2025.01.25 |
Composition API란 무엇인가? (0) | 2025.01.22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JPA
- 항해플러스
- 향해플러스
- HTTP
- Intercepter
- SpringBoot
- react실행
- 향해플러스백엔드
- rejectValue
- 컨트
- 향해99
- 스프링부트
- React
- 리터럴
- filter
- thymleaf
- ArgumentResolver
- reject
- 백엔드 개발자 공부
- 예외처리
- 인터셉터
- 로그인
- hypertexttransferprotocol
- Java
- 항해99
- jpa api
- 백엔드 개발자 역량
- exception
- BindingResult
- 스프링공부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